top of page
main image.jpg

Voyeurism | Surveillance

Academic Year SP/2022

Voyeurism | Surveillance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서로 간의 소통 속에서, 다른 사람의 삶을 바라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관음증적인 욕망과 감시당하는 것에 대한 무지 사이의 상호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관음증적인 욕망은 과거에도 존재했고, 과거의 오페라 하우스에 있던 박스 속에서부터 현재의 소셜 미디어의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구경’이 사람들을 위한 오락의 주요한 방법이 되면서, 소셜 미디어 속의 가상의 세계와 그 안에서의 관계에 대한 의존이 물리적인 공간 속 실질적인 관계에 대한 의존보다 더 커졌습니다. 가상의 플랫폼 속에서 많이 사람들과 연결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이 타인에게 얼마나 비치고 있는지 알지 못한 채 자신의 모습을 더 많이 드러내게 됩니다. 다른 사람들을 보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도 자신을 볼 수 있다는 것을 망각하게 만듭니다.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성찰은 마침내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관찰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 시점에 도달할 때에야 가능할 것이고, 저는 이러한 일련의 경험들은 이화여대의 ECC 빌딩을 활용하여 더 깊이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ECC의 외부 공간에 위치할 선형 경로는 사람들이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과 감시당하는 것에 대한 무지를 깨닫게 할 일련의 시퀀스를 제공할 공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간들은 그랜드 로비, 복도 무대, 그리고 박스 좌석 이 세 가지 주요 공간으로 되어 있고, 각 공간의 이름은 파리의 오래된 오페라 하우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복도 무대에는 AR (증강현실)을 이용해 사용자들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무대에서 짜인 안무에 따라 움직이는 공연자처럼 보이게 하였고, 박스 좌석에서 사람들의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의 사용자들은 공간을 지나면서, 방문객, 공연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객이 되고, 관객의 위치에 있게 되었을 때 비로소 그들이 디지털 세계에 집중하는 동안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마침내 사람들은 더욱더 신체화된 경험과 AR을 통해 자신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해 되돌아보게 할 것입니다.

ECC (Ehwa Campus Complex)

Thesis project를 위한 사이트로 이화여자대학교에 위치한 ECC 빌딩을 선택했습니다.

Site analysis
Section & Floor plan.jpg
Section & Floor plan.jpg

AR에는 세 가지 요소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자라나는 잔디, 말풍선, 그리고 건물 이 세가지 입니다. 세 가지 요소가 선택된 이유는, ECC가 지어지면서 주변의 역사적인 다른 학교 건물들과 기존의 이화여대가 가지고 있던 역사적인 의미가, 새로 지어진 건물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에 비해 조명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문객들은 AR을 사용하면서 이화여대에 대한 새로운 역사와 정보를 배울 수 있고, 이런 행동은 과거와 현재가 기술의 발전으로 융합되어 가는 기술의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내게 됩니다. 그러므로, 박스 좌석에 도착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시각적으로 더 많이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처음 그랜드 로비에 발을 디딘 사람들보다 더 많은 특권을 가질 것입니다.

Portfolio_한국어.jpg
AR implementation.gif
ar concept-04.jpg
ar concept-05.jpg

WELCOME SIGN

 

Welcoming sign은 방문객들이 AR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부터 AR을 활용한 특별한 경험이 시작됩니다.

GROWING GRASS

 

ECC 건물이 한때 녹지였던 점에서 영감을 받아, 자라나는 잔디를 주요 길 찾기 시스템으로 포함하여 방문객들이 산책로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합니다.

MESSAGES

 

말풍선은 방문객들이 잠시 걸음을 멈추고, 캠퍼스의 역사에 대해 더 많이 읽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중 하나입니다.

CONCRETE BLOCK

 

ECC 건물이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하여, 걸음을 멈추고 방향의 전환을 유도하는 장치로 사용했습니다.

© 2022 by Heesoo Kwon.

bottom of page